EC2: 서버를 만드는 것 (윈도우, 리눅스...)
윈도우를 깔고 jdk, oracle, tomcat 설치 (그래야 돌아가지)
aws 가입하고 콘솔 홈 들어갔을 때 우측상단 데이터센터를 서울로 바꿔준다
좌측상단 서비스 메뉴 눌러서 맨 아래 컴퓨팅 -> EC2 클라우드 가상 서버 클릭
인스턴스 시작 클릭
AMI 선택 - (조건) 프리티어만 체크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19 base 선택 (프리티어)
- 다음:인스턴스 세부정보구성 - 따로 건드리지 않고 다음: 스토리지 추가
- 다음:태그 추가 - 태그 추가 버튼 클릭 - 키: 아이디 값: 256 체크는 셋다 되어이씀
- 보인그룹구성: 기존 보안그룹 sg-75-어쩌구 클릭 - 검토 및 시작 - 시작하기
- 키페어: 새 키페어 생성 키페어이름:아이디 키페어 다운로드 - 인스턴스 시작
인스턴스 상태 실행중 되어야하고 체크하면 세부정보 아래 나타남
퍼블릭 ipv4주소, 보안그룹이름default, 인스턴스 유형t2.micro 확인 후 ipv4 복사 - 저장해두기
인스턴스 체크하고 - 상단 연결 누르기 - RDP 클라이언트 - 암호 가져오기 - windows 암호 가져오기
- browse로 아까 받은 .pem 파일 가져옴 - 암호해독 - 암호 복사 (이걸로 어드민 계정(administrator) 들어갈 수 있음 중요
IP, user name(administrator), pw (방금 복사한거) 이렇게 세개 중요함
돌아와서 네트워크및보안-보안 그룹 클릭
인바운드 규칙... ec2.txt 파일에 있는 걸로 설정하기!
원격 데스크톱 열어서 jdk, 톰캣, 오라클 파일 넣고 설치~
설치할 때 포트는 80 으로 사용하기 되도록~
오라클 설치할 때 시스템 비번 기억해야 함 system/1234 <- 나는 1234로 고정하기
톰캣 설치할때 포트번호... -1/8080인걸 8009 / 80 으로 바꿀 것.
그리고 aws 서버로 접속할 때 오라클 디벨로퍼에서
aws_system 접속이름 / system/1234넣고
호스트이름에 IP 복사한거 넣고 1521 / xe 넣기
연결 안되면 방화벽 낮춰야함
aws 내에서
오른쪽 클릭-personalize-themes-desktop icon settings-다 체크하고 ok
제어판-defender-customize settions=turn off 누르고 ok
this PC- server manager- 우측상단 tools-servies 에서 오라클 항상 켜져있게 설정 가능 (running/ automatic)
톰캣으로 서버 잘 연결돼있는지 확인할라면 내 원래 컴퓨터로 ip 주소 붙여넣어봄-연결 체크!
그리고 오라클 디벨로퍼에서 데이터 저장용 계정 하나 만들어 설계해둔 DB 넣고 그걸 가져오는 식으로~ 설계하면 됨
12개월 무료니까... 언제 가입해서 서버 시작했는지 체크해둬야함 (계정-결제 대시보드-청구서)
연결은 아이피로 하고
배포
톰캣-webapps-root-여기에 war파일 압축 풀어서 넣음
'수업 >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20411 빅데이터 개요 (0) | 2022.04.12 |
---|---|
220405 깃허브 (0) | 2022.04.05 |
220401 Model2_답글2, 수정, 삭제 (0) | 2022.04.01 |
220331 Model2_글목록, 답글1 (0) | 2022.03.31 |
220330 Model2_원글 작성 (0) | 2022.03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