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*리눅스docker

* 새로운 이름으로 이미지 저장하고 싶을 때
docker commit 해당컨테이너ID 이미지명:새로운 태그명 ---> 나중에 새 태그로 해당 저장 이미지 불러옴!

* 내가 저장한 이미지를 hub에 push하고 필요할 때 pull로 받을 수도 있음
1. nginx 이미지 받기 : docker pull nginx
2. 이미지 확인 : docker images
3. 이미지에 태그 설정 : docker image tag
    docker tag 원본이미지명 docker hub사용자명/이미지명:[태그명]
4. 저장한 이미지 확인 : docker images
(---> hub에 가입을 해야 이 과정을 진행할 수 있음!)
5. 이미지에 덮어쓰기(push) : docker push 
    docker push hub사용자명/이미지명[:태그명]

+) 이 과정들.. hub에 로그인해서 저장하고 삭제하고 할 수 있음 이런 방법도 있다구 그냥



** Python 환경 구축

* 파이썬 설치
   0. docker pull python
   1. 파이썬 실행 : docker run -it python /bin/bash
   2. 편집기 설치 (그래야 파이썬 파일을 생성할 수 있음)
     2-1. apt-get update
     2-2. apt-get install mc/vim/nano 설치
   3. tmp 디렉토리로 이동 : cd /tmp -> 여기에 파일 생성할 것
   4. 파이썬 파일 생성 : nano test.py
     4-1. print(10+20)
            print('print success')
     4-2. ctrl+O 저장
     4-3. cirl+X 닫기
   5. 파일 생성 확인 : ls -al 에서 test.py 있는지 본다
   6. 파일 실행 : python test.py

   7. 커밋 : docker commit 502c4fb74efd python:last
   8. 이미지 확인 : docker images


* Anaconda3 설치
   0. docker pull continuumio/anaconda3  (용량 작은 버전: 최소한만 있는걸 받겠다면 miniconda3)
   1. 실행 : docker run -i -t continuumio/anaconda3 /bin/bash
   2. 편집기 설치
     2-1. apt-get update
     2-2. apt-get install mc/vim/nano 설치
   3. tmp 디렉토리로 이동 : cd /tmp -> 여기에 파일 생성할 것
   4. 파이썬 파일 생성 : nano test.py (물론 다른 편집기로도 편집 가능)
     4-1. print(10+20)
              print('print success')
     4-2. ctrl+O 저장
     4-3. cirl+X 닫기
   5. 파일 생성 확인 : ls -al 에서 test.py 있는지 본다
   6. 파일 실행 : python test.py


   7. 커밋
      ※ Anaconda3 컨테이너 상태를 이미지로 저장
           docker commit 컨테이너ID 레포지토리명:태그명 ( docker commit cf2a0d349b00 anaconda3:last)
   8. 이미지 확인 : docker images

+) pip list : 설치된 프로그램 목록을 보여줌


** mount 연결
: 윈도우에 있는 소스를 리눅스로 가져와 사용하고 싶을 때!
   1. 윈도우 Users-계정폴더에 sample 폴더 생성 후 test.txt 파일 생성
   2. docker에서 윈도우로 마운트
      docker run -i -t -v /c/Users/계정명/sample:/sample anaconda3:last
      :/sample -> 리눅스에서 만들어질 폴더명
      어디다 가져올 건지 그 뒤에 이미지명:태그명 써주고...
   3. 리눅스에서 폴더 확인 : ls -al
   4. sample 폴더로 이동 : cd /sample
   5. sample 폴더에 test.txt 파일 존재하는지 확인 : ls -al
   6. text.txt 확인 : cat test.txt (편집기로 열지 않을 땐 cat 명령어 사용)


* 파이썬 파일을 sample 폴더에 저장해 리눅스에서 실행하자



※ 마운트로 가져와 실행할 경우, 연결이 끊어지면 파일이 없어지기 때문에 리눅스 폴더로 파일을 복사해줘야 함!
 cp test.txt /tmp
+) 그리고 작업 끝낸 뒤 commit 반드시 해줘야 함

'수업 >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20526 docker -6 tomcat  (0) 2022.05.26
220525 docker -5 java, tomcat  (0) 2022.05.25
220523 Docker -3 허가권, 저장  (0) 2022.05.23
220520 Docker -2 명령어, Linu  (0) 2022.05.21
220519 Docker -1 개념, 설치  (0) 2022.05.19

+ Recent posts